심병건
작가노트
전시명 – 형상의 내적진화 The internal evolution of shape
어떤 형태나 내용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철 작업으로, 마치 드로잉을 하듯 자기 생각을 막힘없이 펼쳐놓는다.
연필에 힘을 주면 농도가 짙어지고 힘을 빼면 옅어지듯, 이 프레스에 압력을 가하면 주름효과가 크고, 압력을 약간 주면 펴짐효과가 강조된다.
사람과 사람, 시대와 시대의 흐름속에서 바뀌어가는 것을 기억하고자 하는 작가의 육중한 프레스는 가느다란 선을 그리는 붓이 되었다.
점묘법처럼 한 점 한 점 찍어대는 프레스의 섬세함은 이야기를 쓰는 타자기와 같다. 때론 스테인리스 강철판이 원고지일 수 있고, 화음을 내는 악보일 수 있다.
수평의 금속판을 망치질하는 장면을 연상한다면, 타악기의 파장 또는 공명을 느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청각적으로 전달되는 화음의 음표들이 원초적일 수 있지만 분명 그는 리듬을 기록하고 시간을 저장한 것이다.
순간에 자신을 맡긴 재료들은 인위적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또 하나의 세계를 탄생시킨다.
작품을 창작하는 것은 하나의 세계창조이고, 그 세계의 예술속에 스며있는 정신, 반짝이는 진리, 그것은 정적인 것이 아닌 동적인 것이다.
파장이 변환하듯 잔잔하면서도 강렬하게, 강한 듯 유연하게, 때론 분출하듯 거친 휘몰아침으로 빠져들게 한다. 프레스의 강한 압력에 의해 만들어진 긴장과 풀림은, 작품을 창작하는 그만의 예술세계를 묘사하는 작가만의 언어가 되었다.
아련한 듯 섬세함과 작가 특유의 볼륨감 위로 뿜어 나오는 에너지는, 주변의 어둠을 뚫고 마치 조명이 켜져 있는 듯 작품위로 타고 흐르는 굵은 빛으로 거듭난다.
그 빛으로부터 모호한 경계가 주는 몽환적인 느낌에 이르기까지의 반전매력을 느낄 수 있는 시각적인 다양함도 특징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 물성이 갖고 있는 독특한 성질을 살려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무수한 실험과 고된 작업의 반복을 마다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작가의 진심을 엿볼 수 있다. 이렇게 탄생한 조각가의 프레스드로잉 시리즈를 보면, 섬세한 내적시선과 그의 작업에 대한 작가의 진정성이 녹아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생명의 세계는 접힘과 펼침의 무한연속’ 이라는 라이프니츠적 영감처럼, 접혀있는 주름에는 존재가 살아낸 시간이 응축되어 있다. 하나의 주름이 형성되기까지 많은 과정과 사연을 스스로 간직하고 기록하는 기억의 저장소인 것이다. 작가는 말한다. “뇌의 주름같기도 하고, 하드디스크의 저장공간 혹은 나무의 나이테와 같은, 주름의 공간에 저장하고자 하는 것이 우리다움의 정신이다.” 시작과 끝이 없이 무한히 접힌 주름과 펼침의 생명이 고동치는 형상, 그런 형상의 진화를 찾아 작가는 오늘도 무한한 공간으로 여행을 떠날 것이다.
작가 이력
199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1994 동 대학원 조소과 졸업
개인전
1994. 2 제1회 개인전 (관훈미술관전관)
2001. 9 제2회 개인전 (관훈미술관 신관1층)
2006. 4 제3회 개인전 (큐브, 조각공간큐브)
2009. 12 제4회 개인전 (갤러리그림손)
2014. 12 제5회 개인전 (두원아트센터부산)
2017. 5 제6회 개인전 (예술의기쁨)
2019. 10 제7회 개인전 (아산모나무르 개관초대전)
2021. 3 제8회 개인전 (금보성아트센터)
2022. 4 제9회 개인전 (바움아트스페이스)
2022. 6 제10회 개인전 (앤팩토리)
2022. 11 제11회 개인전 (벨라한 갤러리)
2023. 11 제12회 개인전 (석파랑 아트홀)
부스전
2005. 4 제1회 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 초대전
2013. 5 제3회 조각페스타 (예술의전당)
2014. 4 제4회 조각페스타 (예술의전당)
2022. 11 앤드트리 갤러리
2023. 3 갤러리_다
2023 제 12회 서울 조각페스타 (코엑스)
2023. 9 아산 국제 아트 페스티벌 100인 100색 전
2024 제 13회 서울 조각페스타 (코엑스)
2024 벨라한 갤러리
수상 및 경력
2006 제1회 포스코 스틸아트 공모전 우수상 (포스코본사)
2007 제6회 고양 조각심포지움 (호수공원)
2008 제1회 국제 아산 조각심포지움 (이순신종합운동장)
2010~11 제2기 조각스튜디오 입주작가 (양주시)
2015 제18회 이천조각심포지움 (설봉공원)
2019 제 1회 춘천조각심포지움 (캠프페이지)
2019 아리랑어워드 (예술의전당)
2021 제1회 한강조각프로젝트, 흥 (반포한강공원)
2022 제2회 한강조각프로젝트, 낙락유람 (뚝섬한강공원)
2022 키아프 서울 아트페어 (조선화랑 코엑스)
2022 강원 트리엔날레 (평창 진부)
2023 제 3회 한강조각프로젝트 한강을 걷다
작품소장
2006 포스코 박물관 로비 (포항)
2008 아산 이순신 체육공원 내 야외조각
2010 양주 시립 조각공원 내 야외조각
2015 포스코 스테인리스 스틸 제 1공장 내
2015 이천 설봉공원 야외조각 (이천 국제 조각심포지움)
2018 양평 월남참전용사 기념탑
2019 춘천 국제 조각심포지움
2020 통영 조각의 집 야외조각
소장
2018 송파 헬리오시티
2021 수원 매교역 푸르지오 SK View
2021 대구 코오롱 하늘채
2022 광명 철산 SK View
2023 개포 자이 프레지던스 외 다수
ARTWORKS
윈도우 블루 – The ocean 2021 Stainless Steel 810*840*55(H)15,000,000
Pressed Drawing – Creation 2023 Stainless Steel 350*350*410(H)10,000,000
Pressed Drawing – 생성 2011 Stainless Steel 770*470*88025,000,000원
Pressed Drawing – The shape of life 생명의 형상 2024 Stainless Steel 1030*560*10300(H)22,000,000
Pressed Drawing - Space time 2024 Aluminium 600*6959,000,000
Pressed Drawing – Space time 2024 Aluminium 685*200*5015,000,000
Pressed Drawing – Space time 2024 Aluminium 1010*740*5012,000,000
Pressed Drawing – Space time 2024 Stainless Steel 1020*220*5100(H)12,000,000
Pressed Drawing – Creation 2023 Stainless Steel 250*250*350(H)4,500,000
Pressed Drawing – The space 형상 2024 Stainless Steel 720*200*710(H)12,000,000
Pressed Drawing - 구름기둥 II 2024 Stainless Steel, Gold color 470*240*640(H)12,000,000
Pressed Drawing – Monad 2009 Stainless Steel, Corten Steel 490*280*83020,000,000
Pressed Drawing – Space time 2023 Stainless Steel 700*130*72015,000,000
Pressed Drawing – Waterfall 2023 Black Stainless Steel 710*700*2500(H)50,000,000
Pressed Drawing – 구름기둥 I 2024 Stainless Steel 470*450*2000(H)20,000,000
Pressed Drawing – Morphogenesis 2024 Stainless Steel 890*600*760(H)20,000,000